4.7 재보궐선거 마무리…기업은행, 노조추천이사제 속도붙나
국책은행 특성상 이사진에 대한 청와대 인사검증 필요
선거 이후 개각인사에 일정상 변수발생 가능성도
금융/증권 > 금융 | 2021-04-08 07:00:02

서울과 부산시장 등을 선출하는 ‘4.7 재보궐 선거’가 마무리됨에 따라 기업은행의 노조추천 사외이사 선임작업에도 속도가 붙을 예정이다. 기업은행이 노조추천 사외이사를 선임할 경우 금융권 최초 사례가 되기 때문에 업계 이목도 쏠리고 있다.
8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달 말 국내 금융지주사와 은행 대부분이 정기 주주총회를 통해 이사진을 개편했지만, 기업은행만 여전히 후임 선임작업을 완료하지 못했다.
기업은행의 사외이사 총 4명 중 신충식·김세직 등 사외이사 두 명만 현재 정상적으로 임기를 수행하는 중이다. 이미 임기가 끝난 김정훈·이승재 사외이사의 자리는 여전히 공석으로 남아있는 상황이다.
기업은행은 국책은행 특성상 새로운 사외이사를 선임할 때 이사진이 이사회 산하의 운영위원회 의결을 거친 뒤 청와대의 인사검증까지 통과해야 한다. 하지만 재보궐 선거에 정부 이목이 쏠리면서 관련 검증절차를 추진하는 데 현실적인 어려움이 따랐다.
금융권 내 발생한 대형 이슈도 영향을 미쳤다. 지난달 말부터 금융소비자보호법이 시행되면서 기업은행도 내부 통제시스템을 강화하는 등 현안 대응에 시간을 할애해야 했다. 앞서 윤종원 행장은 3월 중으로 복수의 사외이사 후보 추천을 마무리하겠다고 밝혔지만 4월까지 이 작업이 지연될 수밖에 없었던 이유다.
전일 재보궐 선거가 끝나면서 업계는 기업은행의 노조추천 사외외사 제청·검증작업이 본격적으로 이뤄질 환경이 조성됐다고 보고 있다.
기업 입장에서도 사외이사의 오랜 공백은 현안 대응 측면에서 경영상 부담으로 작용하게 된다. 그간 윤종원 행장이 노사공동선언문을 통해 노조추천이사제 도입을 적극 검토해왔기 때문에 노조와의 추가적인 마찰 가능성도 낮은 상황이다.
다만 선거 이후 개각인사가 예정된 만큼 기업은행 사외이사 임명 일정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상황이다. 특히 교체 대상에 금융위원장 자리도 거론되고 있어 금융권 내 연쇄인사 가능성도 남았다.
[CEO스코어데일리 / 이재아 기자 / leejaea555@ceoscore.co.kr]
Copyright @CEO LAB.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