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뜰폰 1000만 시대…시장 재편 움직임에 이통사 ‘촉각’  

시간 입력 2021-12-01 07:00:03 시간 수정 2021-12-01 07:34:07
  • 페이스북
  • 트위치
  • 카카오
  • 링크복사

MZ세대 인기몰이 출범 11년 가입자 1000만명 돌파
50% 육박하는 이통 3사 자회사 점유율 도마 위  
국회, 점유율 제한 법안 발의…정부 관련 내용 검토 중

국내 알뜰폰 서비스가 가입자가 1000만명을 넘어선 가운데 이동통신사들이 시장 재편 여부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정부가 SK텔레콤(대표 유영상)과 KT(대표 구현모), LG유플러스(대표 황현식) 등 이통 3사 자회사의 점유율 제한 여부를 검토 중이기 때문이다. 다만, 3사간 온도차 존재해 단기간 내 결론을 내릴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1일 업계에 따르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따르면 지난달 21일까지 알뜰폰 가입자는 1007만명을 달성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2010년 9월 알뜰폰이 도입된 이후 11년 만에 이룬 성과다.

2015년 가입자 500만명을 돌파한 알뜰폰 서비스는 지난해 말 911만명을 기록했고 마침내 연내 1000만명 시대를 열었다. 최근 가성비를 중시하는 MZ세대(밀레니얼+Z세대) 사이에서 ‘자급제+알뜰폰’ 조합이 인기를 끌면서 상승세가 빨라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알뜰폰 시장이 성장세를 거듭할수록 이통 3사의 과점 문제도 불거지고 있다. 당초 알뜰폰 사업은 이통 3사로부터 망을 임대해 통신서비스를 제공하는 형태로 시장 경쟁을 촉진하기 위해 도입됐다.

하지만 현재 이통 3사가 자회사를 통해 알뜰폰 시장을 장악하고 있는 상황이다. 3사가 보유한 알뜰폰 자회사는 SK텔레콤의 SK텔링크, KT의 KT엠모바일, KT스카이라이프, LG유플러스의 LG헬로비전, 미디어로그 등 총 5개다. 이들의 알뜰폰 시장 점유율은 2019년 37%에서 올해 7월 46.6%까지 올라왔다.

LG유플러스가 중소 알뜰폰 사업자 상생의 일환으로, 자사 망을 사용하는 27개 U+알뜰폰 사업자의 요금제 가입이 가능한 공용 유심인 ‘모두의 유심, 원칩’을 지난달 선보였다. <사진제공=LG유플러스>

이미 국회에서는 3사의 알뜰폰 자회사 수와 점유율 비율을 제한하는 법안이 발의 된 상태다. 김영식 의원(국민의힘)은 지난해 12월 이동통신 3사 알뜰폰 자회사 수를 제한하는 내용의 전기통신사업법 일부개정안을 발의했다. 양정숙 의원(무소속)도 지난 4월 이동통신 3사 알뜰폰 자회사의 시장 점유율을 제한하는 전기통신사업법 개정안을 냈다.

정부 역시 이통 3사 자회사의 합계 점유율 제한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임혜숙 과기정통부 장관은 최근 열린 알뜰폰 1000만 가입자 달성 기념행사에서 “이해관계자들과의 논의를 통해 여러가지 입장을 잘 고려해 검토해볼 것”이라고 언급했다.

다만, 업계에서는 이통 3사의 입장이 서로 엇갈리고 있는 만큼 단기간 내 결론을 내리기 쉽지 않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KT와 LG유플러스에 비해 알뜰폰 시장 점유율이 가장 낮은 SK텔레콤은 이통 3사가 알뜰폰 시장에서 철수해야 한다고 결정이 나면 따르겠다는 입장이다. 강종렬 SK텔레콤 인프라 부사장은 “국회에서 이통 자회사의 알뜰폰 사업과 관련해 논의가 진행 중인 것으로 알고 있다”며 “정부와 국회에서 철수가 결정되면 따르겠다”고 말했다.

반면, 알뜰폰 사업을 적극적으로 전개해나가고 있는 KT와 LG유플러스는 점유율 제한 논의에 바짝 긴장하는 모양새다.

KT의 자회사인 KT엠모바일은 알뜰폰 시장 점유율 1위를 달리고 있다. 최근 한국표준협회가 주관하는 ‘2021년 콜센터품질지수’ 조사에서 3년 연속 알뜰폰 부문 1위로 선정되기도 했다. KT의 또 다른 자회사 KT스카이라이프는 위성방송에 이어 인터넷과 알뜰폰으로 무선사업까지 사업을 넓혀나가고 있다.

LG유플러스도 자회사인 LG헬로비전과 미디어로그를 통해 알뜰폰 사업에 공을 들이고 있다. 회사는 중소 알뜰폰 사업자와의 상생 일환으로 공용 유심을 출시하기도 했다. LG헬로비전의 경우, 올해 3분기 알뜰폰 부문에서 4분기 연속 가입자 순증을 기록하며 지속 성장 중이다.  

이통사 한 관계자는 “이통 3사 자회사 알뜰폰과 중소 알뜰폰 업체의 역할이 다르다”면서 “인위적으로 이통 3사 자회사의 알뜰폰을 줄이기보다는 중소업체들이 본인들만의 특화 서비스를 내놓는 등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해야 소비자 입장에서 선택권이 늘어나고, 건전한 시장 활성화도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국회와 정부에서 점유율 제한 여부를 검토 중인지만 관련 절차가 많이 남아 있어 일단 상황을 지켜보고 있다”고 덧붙였다.

[CEO스코어데일리 / 박주선 기자 / js753@ceoscore.co.kr]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