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고용위기지역 회복프로젝트’로 일자리 2만6000개 창출

시간 입력 2018-12-18 11:42:51 시간 수정 2018-12-18 15:23:08
  • 페이스북
  • 트위치
  • 카카오
  • 링크복사

산업부2019 업무보고-소재·부품 R&D 매년 1조원 투자·신산업 확대도 ‘박차’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18일 정부세종청사 산업부 기자실에서 ‘2019년 산업통상자원부 업무보고’와 관련한 ‘현장 스케치 및 주요 토론내용’을 출입기자단에게 브리핑을 한 후 질의·응답의 시간을 가졌다. <사진제공=산업통상자원부>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18일 정부세종청사 산업부 기자실에서 ‘2019년 산업통상자원부 업무보고’와 관련한 ‘현장 스케치 및 주요 토론내용’을 출입기자단에게 브리핑을 한 후 질의·응답의 시간을 가졌다. <사진제공=산업통상자원부>

정부가 고용위기지역에 회복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일자리 2만6000개 창출에 나선다. 또한 소재·부품 연구개발에 매년 1조원을 투자하는 등 주력 산업군별 맞춤형 고도화 전략을 추진하고 신산업 확대도 적극 추진하기로 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8일 세종정부청사 산업부 대회의실에서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2019년 정부업무보고’를 진행했다. 문재인 대통령과 산업부 장・차관, 당・청 인사 및 중소·중견 기업대표 등 130여명이 참석했다.

성윤모 산업부 장관은 ‘제조업 활력 회복 및 혁신전략’ 보고를 통해 △단기적인 지역활력 회복 프로젝트 △주력산업 고도화 및 신산업 창출 등 제조업 혁신전략 △도전적 기업가정신 복원방안 등 3개 부문의 정책과제를 제시했다.

먼저 지역활력 회복을 위해 광주형 일자리 모델과 같은 상생형 지역일자리 모델이 확산될 수 있도록 내년 1분기까지 확산모델, 인센티브 패키지, 참여주체들의 역할을 도출한다.

전북, 부산‧경남, 광주‧전남, 대구‧경북 등 산업 및 고용이 위기에 처한 4개 지역에 대해서는 14개 활력 회복 프로젝트를 추진해 2022년까지 2만6000여개 일자리를 창출할 계획이다.

제조업 혁신을 위해서는 4개 품목군 별로 맞춤형 고부가가치화 전략을 추진한다.

먼저 소재·부품·장비 연구개발(R&D)에 매년 1조원을 투자한다. 반도체·디스플레이·배터리 분야에도 10년간 120조원(민간투자)을 투자해 대·중소 상생형 반도체 특화 클러스터를 조성하고 차세대 반도체 등 미래선도 기술개발에 2조원을 투입한다.

또한 자동차 중소·중견 협력사에 신규자금 3조5000억원 이상을 지원하고 친환경차 생산비중도 현재 1.5%에서 2022년까지 10% 규모로 대폭 확대하기로 했다. 섬유·가전 분야에서는 동대문 중심의 디지털 패션 생태계와 중소·중견기업 전용 빅데이터센터를 구축하고 신제품 실증을 지원한다.

신산업 투자와 확대에도 박차를 가한다.

수소경제 생태계 완성을 위해 2022년까지 수소차 6만5000대, 수소버스 2000대를 보급하고 수소차 연료전지 스택 생산설비도 4만기까지 대폭 확충한다. 또한 재생에너지 산업 경쟁력을 선진국 수준으로 강화하기 위해 내년까지 냉동기·공기압축기 최저효율기준을 도입하고 스마트그리드 체험단지를 조성하기로 했다.

중소‧중견기업을 중심으로 하는 생산 시스템 혁신도 추진한다. 제조업이 밀집된 산단을 중심으로 2022년까지 스마트공장 3만개를 보급하고 10개 산단을 스마트 산단으로 전환한다.

기업가 정신 회복을 위한 기업 투자애로 해소에도 나선다.

제조업 생산부대비용 실태를 정기적으로 조사·공표하고 내년 1월 규제샌드박스 시행 즉시 대대적인 실증사업과 신산업 규제혁파 로드맵 수립을 추진한다. 또한 성장사다리 보강을 위해 제조업 혁신창업 플랫폼을 구축하고 법·제도적 진입규제와 사실상의 진입장벽을 조사·발굴할 방침이다.

2년 연속 수출 6000억달러 달성을 위해서도 내수·수출 초보기업 지원, 무역보험 확대 등을 추진할 방침이다.

아울러 에너지 분야는 최상위 계획인 ‘제3차 에너지기본계획’을 내년 1분기 수립해 에너지 공급, 소비, 산업을 포괄하는 에너지전환의 중장기 비전을 제시할 예정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규제개혁과 리스크 공유, 경쟁과 협업 촉진, 사람을 키우는 일을 가장 중요한 정부의 역할로 규정하고 기업가정신이 마음껏 발휘될 수 있는 혁신생태계를 만드는 데 역점을 뒀다”며 “내년에 부문별로 마련될 세부 실행계획들과 함께 속도감 있게 추진될 것”이라고 말했다.

[CEO스코어데일리 / 유영준 기자 / yjyoo@ceoscore.co.kr]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