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염에도 전력 예비율 안정 이유는…발전설비 10년 전보다 38.6% 늘어

시간 입력 2021-07-27 07:00:07 시간 수정 2021-07-27 09:07:11
  • 페이스북
  • 트위치
  • 카카오
  • 링크복사

지난해 국내 발전설비 규모 총 12만7820MW
원전‧화력발전이 80% 이상…발전원 다양성 필요

풍력발전단지 전경. <사진제공=픽사베이>
풍력발전단지 전경. <사진제공=픽사베이>

최근 전력수요 증가에도 전력 예비율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것은 발전설비의 꾸준한 증가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전일 16시 기준 한국거래소의 전력공급 예비율은 13.52%로 정상을 기록했다. 이 시각 전력 공급능력은 10만666MW , 전력 수요는 8만8679MW를 각각 나타냈다. 공급 예비전력은 1만1987MW였다.

산업생산성 증가와 기후변화 등으로 전력수요 증가함에도 꾸준한 예비율을 기록하고 있는 것은 최근 10년간 발전설비가 크게 증가했기 때문이다.

전력거래소 전력수급 동향 통계에 따르면 최대전력수요는 2011년 7만3140MW에서 2020년 말 8만9090MW로 17.9% 증가했다.

같은 기간 국내 발전설비는 2011년 7만6130MW에서 2020년 12만7820MW로 38.6% 증가했다. 최대전력수요 대비 발전 가능한 설비의 증가율이 2배 이상 높은 셈이다.

실제 지난 10여년간 발전설비는 2011년 7만6130MW에서 이듬해인 2012년 8만1810MW로 전년 대비 7.5% 상승했다.

이어 △2013년 0.6% △2014년 13.3% △2015년 0.9% △2016년 6.5% △2017년 16.5% △2018년 0.5% △2019년 6.9% △2020년 2.0% 등 매년 전년대비 성장세를 이어왔다. 이에 따라 2020의 발전설비량은 12만7820MW까지 늘었다.

전력은 저장이 불가능하고 매 순간 수요와 공급이 일치돼야 한다. 때문에 항상 최대 전력수요보다 어느 정도 여유를 가진 공급능력을 갖춰야 수요 급증에 따른 블랙아웃 등의 긴급상황을 막을 수 있다.

즉 전력예비율은 발전설비용량과 직결되고 꾸준한 발전설비 증가가 전력수요 상승에도 예비율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비결이 된 셈이다.

▲ⓒ산업통장자원부 전력수급통계 갈무리
▲ⓒ산업통장자원부 전력수급통계 갈무리

2020년 말 기준 전체 발전설비를 에너지원으로 원자력발전이 18.0%, LNG포함한 화력발전은 62.1%를 각각 나타냈다. 원전과 화력 양대 발전원이 국내 전체 전력생산 설비의 80% 이상을 차지한 것.

반면 수력발전은 5.0%, 신재생에너지와 집단에너지를 포함한 기타발전 비중은 14.8%로 여전히 미흡했다.

한국거래소 에너지원별 발전 현황에 따르면 원자력발전은 2011년 1만8716MW에서 2020년 2만3250MW로 두배 가까이 성장했다.

가스발전 역시 같은 기간 2만116MW에서 4만1170MW로 2배 정도의 발전설비 규모가 늘었고 화력발전인 유연탄은 2만3080MW에서 3만6453MW로 증가하며 전체 화력발전 설비규모를 늘렸다.

반면 이 기간 무연탄과 유류를 기반한 발전설비는 1125MW에서 반 이상 줄었다. 또 수력은 2011년 6418MW에서 6506MW로 소폭 증가에 그쳤다.

신재생에너지 등 기타 발전은 4482MW에서 1만9165MW로 4배 이상 증가율을 기록했지만 2020년 말 기준 전체 구성비는 여전히 14.8%에 그쳤다.

전문가들은 향후 5G 활성화, 전기차 수요 증가, 이상기온, 4차 산업혁명 등 미래 전력수요의 증가가 예상되는 만큼 전력의 안정적 공급뿐만 아니라 발전설비의 다양성도 확보해야 한다고 말한다.

특히 발전설비가 단기간에 건설이 불가능한 점을 들어 기존 설비에 신재생에너지와 지역난방 등의 점진적 확대를 통해 다양한 발전원을 이용한 장기 전력수요 예측과 발전설비 건설계획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조상민 에너지경제연구원 신재생에너지연구팀장은 “정부의 5차 에너지기본계획에 오는 2030년까지 신재생에너지발전량을 20%까지 확대하고 이어 2034년까지 25.6%까지 발전 비중을 늘리기로 방향을 잡은 만큼 발전원의 다양성은 더욱 확대될 것”이라며 “아직 다른 발전원에 비해 재생에너지의 발전비중은 여전히 미흡하지만 재생에너지가 정부의 탄소중립 정책과 유럽 등의 탄소세 도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만큼 향후 경제적 이유에서라도 비중 확대는 필요하다”고 말했다.

[CEO스코어데일리 / 이승현 기자 / shlee4308@ceoscore.co.kr]

[CEO스코어데일리 / 이승현 기자 / shlee4308@ceoscore.co.kr]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