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산업 대 변혁] ] “‘디지털 융합’이 2030시대 주도”...‘친환경·식량·의료’도 주목

시간 입력 2022-09-28 13:37:40 시간 수정 2023-01-27 10:21:47
  • 페이스북
  • 트위치
  • 카카오
  • 링크복사

모빌리티·바이오 산업, IT 융합 산업으로 발전 전망
에너지·식량·의료·환경 등 ‘생존’과 결부되는 산업도 부각

(왼쪽부터)장석권 KAIST 초빙석학 교수, 김경준 CEO스코어 대표, 이승규 한국바이오협회 부회장, 신용식 SKT 커넥트 인프라 CO 담당 부사장. <출처=CEO스코어데일리>
(왼쪽부터)장석권 KAIST 초빙석학 교수, 김경준 CEO스코어 대표, 이승규 한국바이오협회 부회장, 신용식 SKT 커넥트 인프라 CO 담당 부사장. <출처=CEO스코어데일리>

미래에는 전통 산업에 디지털 기술을 결합한 ‘디지털 융합 산업’이 주를 이룰 전망이다. 또한 전쟁, 물가폭등, 환율전쟁이 본격화 되는 대 격변기를 맞아, 식량, 의료, 환경 등 인간의 안전과 생존에 직접적으로 연관되는 산업도 주목을 받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지난 27일 CEO스코어데일리가 창간 10주년을 맞아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개최한 정책포럼에서 급변하는 산업 패러다임 속에서 앞으로 부상할 신성장산업과 국내 기업이 나아갈 방향에 대한 토론회가 진행됐다.

이날 토론회에는 장석권 KAIST 초빙석학 교수가 사회를 맡고 김경준 CEO스코어 대표, 신용식 SK텔레콤 커넥트 인프라 CO 담당 부사장, 이승규 한국바이오협회 부회장이 참여해 의견을 나눴다.

먼저, 김 대표는 “디지털 대전환 시대인 만큼 앞으로 10년은 IT·플랫폼 산업이 주도할 것 같다”면서도 “장기적으로는 에너지와 식량 관련 사업이 떠오를 것”이라고 전망했다. 특히 그는 “코로나19로 인해 글로벌 공급망, 상호신뢰가 흔들리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세계적으로 각자도생의 길로 접어들 가능성이 있다”면서 “에너지와 식량 문제가 가장 심각한 문제로 떠오르고, 위협으로부터 안전과 생존력을 확보하는 산업이 많이 부각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김 대표는 “의료 산업도 각광받을 것”이라며 “평균 수명이 늘어날수록 건강 수명도 같이 늘리려는 욕구가 강하다. 인구가 줄어드는 국가를 중심으로 삶의 질을 추구하는 경향이 강해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해당 사업들이 성장하기 위한 촉매제는 디지털, AI 기술이 될 것”이라며 “기존 산업과 디지털 기술이 결합하면서 새로운 지평을 열 것”이라고 부연했다.

신경식 부사장은 앞으로 주목받을 신산업으로 친환경 에너지와 메타버스, 모빌리티 산업 등을 꼽았다. 그는 “에너지·화학 분야에서 많은 변화가 시도되고 있다. 기존에는 석유 정제가 메인 산업이었다면 지금은 수소 발전 등 탄소 배출을 없애는 방향으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SK도 그룹 차원에서 탄소 배출량 저감에 굉장히 노력하고 있다”면서 “수소 관련 사업, 폐기물 재활용, 탄소 포집·저장(CCS) 등은 물론 SKT가 추진하는 UAM(도심항공교통) 사업도 환경 문제 해결을 위한 측면이 포함돼 있다”고 강조했다. 또한 신 부사장은 “정보통신기술(ICT) 분야에서는 메타버스, AI가 큰 축이 될 것”이라며 “이와 함께 UAM, 자율주행차 등 새로운 모빌리티들이 상용화 되면서, 이를 위한 통신 인프라에 대한 수요도 높아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승규 부회장은 바이오 산업의 트렌드 변화를 기회로 한국이 차세대 글로벌 바이오 리더가 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바이오 산업 트렌드가 신약 개발에서 지금은 디지털, AI 등과 결합된 융합바이오로 넘어가고 있다”면서 “향후 데이터와 플랫폼을 가진 나라가 바이오 산업의 선구자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삼성바이오로직스와 셀트리온의 생산공장이 집결돼 있는 인천 송도는 글로벌 생산 능력 1위를 자랑하는 지역”이라며 “이는 최근 10여년만에 이뤄낸 성과로 산업 집중력을 증명하는 사례”라고 설명했다. 이어 “융합바이오가 뜨고 있는 만큼 IT 기술 경쟁력이 뛰어나고 맨파워가 좋은 우리나라가 차세대 바이오 시장에서 큰 비중을 차지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 부회장은 이를 위한 조건으로 규제완화와 인식의 변화를 촉구했다. 그는 “현재는 제조업에 적용되는 규제를 그대로 신성장 사업에도 적용하고 있는데, 이를 타파하지 못하면 혁신 기술이 나올 수 없다”고 지적했다.

[CEO스코어데일리 / 김동일 기자 / same91@ceoscore.co.kr]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