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연홍 제약바이오협회장 “올해 ‘혁신역량 강화의 해’로 만들겠다”

시간 입력 2024-01-30 17:45:00 시간 수정 2024-01-30 16:57:48
  • 페이스북
  • 트위치
  • 카카오
  • 링크복사

제약바이오 중심국가 도약 위해 혁신 역량 강화해야
의약품 공급망 안정화·오픈이노베이션 가속화 필요
연구개발 지원·규제혁신·합리적 약가제도 설계 촉구

노연홍 제약바이오협회장이 30일 서울 서초구 제약회관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제공=한국제약바이오협회>

“제약바이오산업은 전환점을 맞고 있다. 올해 제약바이오 중심국가 도약을 향한 ‘혁신역량 강화의 해’로 만들겠다.”

노연홍 한국제약바이오협회장은 30일 서울 서초구 한국 제약회관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이같이 말했다. 한국제약바이오협회는 이날 혁신 역량 강화를 위한 비전을 공개하고 정책을 제안했다.

노연홍 회장은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제약바이오강국은 시대적 요구로 분출돼 관련 산업의 혁신을 재촉하고 있다”면서 “제약바이오산업 육성에 대한 정부 의지가 확고하다”고 말했다.

정부는 지난 2022년 바이오·디지털헬스 글로벌 중심국가 도약을 핵심 국정과제로 선정한 이후 바이오헬스 신시장 창출전략, 제3차 제약바이오산업 육성·지원 5개년 종합계획 수립 등 산업 육성기조를 구체화했다. 또 바이오에 대한 국가첨단전략산업 지정을 비롯해 1·2호 바이오백신 펀드 조성, 범정부 콘트롤타워 바이오헬스혁신위원회의 출범, 원료의약품 자립화 기반을 강화했다.

노 회장은 “우리 손으로 개발한 혁신 신약 기술을 글로벌 빅파마에 이전하고, 세계 시장에서 경쟁할 수 있는 신약을 연이어 개발하고 있다”면서 “의약품 수출을 넘어 현지 기업과 생산시설 인수 및 유통망 구축 등 글로벌 공략을 다변화하고, 대기업 등 타 산업군의 제약바이오분야 진출이 가속화하는 등 국경과 산업의 경계를 허물고 있다”고 말했다.

노 회장은 올해 제약바이오 중심국가 도약을 향한 혁신 역량 강화를 위해 △혁신 성과 창출하는 생태계 확립 △의약품 공급망 안정화, 제조 역량 고도화 △해외시장 공략, 오픈이노베이션 가속화 △산업의 지속가능 성장을 위한 미래 전략 준비 등을 비전으로 제시했다.

노 회장은 “산업 혁신에 대한 요구가 거세지고 있다”면서 “AI 활용 등 융복합 혁신과 과감한 R&D, 오픈 이노베이션으로 신약개발을 가속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품질관리 시스템 구축과 의약품 공급망 강화, 공정거래 질서 확립에도 힘을 쏟겠다”고 강조했다.

협회는 바이오헬스혁신위원회 참여를 통해 연구개발, 규제개선, 시장진입 촉진 등 민·관 역량을 극대화하는 협력 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또, 한국형 ARPA-H의 내실을 강화하는 등 R&D 선순환 체계를 확립하기 위한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기로 했다. 온라인 기술거래 플랫폼(K-SPACE) 활성화로 오픈 이노베이션 시너지를 극대화할 방침이다. 협회에 따르면 K-SPACE에 합성신약 315개, 바이오신약 762개 등 파이프라인 2175건이 등재됐다.

제약바이오협회는 이날 제약바이오 중심국가 도약을 위해서는 정부의 지원이 필요하다면서 정책도 제안했다. 노연홍 회장은 “혁신 신약을 개발할 수 있는 우수 인력과 연구 역량에도 불구하고 규모의 한계로 인해 고도의 선택과 집중이 전제되어야 성과를 도출할 수 있는 현실적 제약이 있다”면서 “블록버스터 신약 창출을 위해 혁신적 연구개발 지원을 확대해 달라”고 말했다.

이어 노 회장은 “예측불가능한 약가제도와 불안정한 필수·원료의약품 공급체계로 산업기반이 약화됐다”면서 “기업이 안심하고 투자할 수 있도록 합리적 규제혁신과 예측가능한 약가제도를 설계해 달라”고 촉구했다.

또한, 노 회장은 “AI 활용 신약 개발 등 기술 혁신을 이룰 수 있도록 적극적인 지원”과 “해외 시장 진출에 실질적 도움이 되는 제도적 지원을 마련해 달라”고 주문했다.

한편 지난해 글로벌 의약품 시장은 1조3206억달러 규모로 전년 대비 10.1% , 바이오의약품 시장은 4777억달러로 전년 대비 10.0% 각각 성장했다.  국내 의약품 시장 규모는 29조8595억원으로 전년 대비 17.6% 증가했다. 

[CEO스코어데일리 / 조희연 기자 / chy@ceoscore.co.kr]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