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증권사 새 사업 주목받는 ‘IMA’ 뭐길래…금융당국, 세부사항 마련 중

시간 입력 2024-10-04 17:45:00 시간 수정 2024-10-04 16:39:15
  • 페이스북
  • 트위치
  • 카카오
  • 링크복사

8년간 인가 증권사 ‘0’…금융위, 종투사 제도 개편하며 가이드라인 준비
자기자본 8조원 이상 종투사 미래에셋·한투 2개사 대상
예치금 보호장치·증권사 손실 가능성 예방책 등 당국 과제로

지난 2016년 도입됐지만 아직까지 실제 인가 사례가 없어 유명무실한 제도라는 지적을 받아 온 종합투자계좌(IMA)와 관련, 금융당국이 최근 구체적 가이드라인 마련에 나섰다.

그간 가이드라인이 부재해 당국 승인을 꺼려 온 대형 증권사들이 드디어 인가에 도전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될 것으로 보인다.

4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금융위원회는 최근 IMA 관련 세부 가이드라인 마련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IMA는 증권사가 원금을 보장하면서 고객 예탁금을 기업대출, 회사채 등 다양한 기업금융에 투자해 이익을 내는 방식의 계좌다. 은행 이자보다 많은 수익률을 낼 수 있어 투자자의 입장에서도 안정성과 수익성을 동시에 노릴 수 있다. 당시 금융당국은 고객으로부터 수신한 자금을 통해 기업에 대한 모험자본 공급을 보다 원활하게 한다는 취지로 이를 도입했다.

다만 수탁액의 5% 이상을 손실충당금으로 적립해야 해 자기자본 8조원 이상의 초대형 종합금융투자사업자(종투사)에만 허용된다.

제도 자체는 2016년 도입됐지만, 실제 인가를 신청한 증권사는 없다. 당국은 IMA로 조달한 자금은 레버리지 비율 규제 적용 대상에서 제외하는 인센티브까지 제시했지만, 효과가 없었다.

올 상반기 기준 미래에셋증권과 한국투자증권이 자기자본 요건을 넘겼지만 구체적 규정이 부재하다는 이유로 도입을 망설여 왔다.

하지만 최근 김병환 금융위원장이 종투사 제도 개선에 착수하면서, 그 일환으로 IMA 제도 정비도 함께 급물살을 타게 됐다.

김 위원장은 지난 8월 증권사 최고경영자(CEO) 간담회에서 “증권사 본연의 역할에 충실하기 위한 재정비가 필요하다”며 “도입 10년이 경과한 종투사 제도의 공과를 평가하고 향후 제도 개선 방향을 업계와 함께 논의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증권가 일각에서는 최근 대형 증권사들의 역량이 크게 성장한 만큼 IMA 도입의 실효성이 있을 것이라는 기대가 나오고 있다. 만약 자기자본 8조원 이상인 미래에셋증권과 한국투자증권 중 한 곳이 IMA 사업을 개시하게 되면 ‘업계 최초’라는 타이틀도 함께 획득하는 만큼 상징적인 의미도 부여될 것으로 보인다.

최근 대형 증권사들이 ‘몸집 불리기’에 적극 나서면서 ‘자기자본 8조’에 근접해가는 후보군들이 앞으로 늘어날 가능성도 있다. 또 증시 불확실성 지속, 부동산 시장 침체 등으로 새로운 먹거리 확보가 필요한 증권사들로서는 IMA 도입을 긍정적으로 검토할 만하다.

다만 증권사가 부담해야 하는 리스크도 있다. 수시입출식으로 운영된다면 ‘뱅크런’ 사태 등이 일어날 우려도 있으며, 예치금을 보호할 수 있는 법적 장치도 현재로서는 분명하게 제시되지 않은 상태다.

송민규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지난해 발간한 보고서에서 “원본 손실이 발생할 경우 증권사 고유재산으로 자기신탁 계정을 보전하는 체계가 마련돼 있지 않다”며 “충당금을 설정한다 해도 이를 초과하는 손실에 대해서는 결국 고유계정을 이용해 처리해야 한다”고 짚은 바 있다.

[CEO스코어데일리 / 박예슬 기자 / ruthy@ceoscore.co.kr]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