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플러스 노조 “MBK 김병주 회장, 출국 금지시켜야”

시간 입력 2025-05-07 17:45:00 시간 수정 2025-05-07 16:43:20
  • 페이스북
  • 트위치
  • 카카오
  • 링크복사

마트노조, 7일 ‘홈플러스 사태 수사 촉구’ 기자회견 개최
“단기채권 발행 후 4일 만에 기업회생 신청한 것은 사기”
홈플러스 대주주 MBK 김병주 회장의 즉각 소환 촉구

마트산업노동조합 홈플러스지부와 홈플러스 사태 해결을 위한 공동대책위원회가 7일 서울 서초구에 위치한 서울중앙지방검찰청 정문 앞에서 ‘홈플러스 사태 수사 촉구’ 기자회견을 개최하고 있다. <사진=최수빈 기자>

홈플러스 자산유동화 전자단기사채(ABSTB) 투자자와 마트산업노동조합 홈플러스지부(이하 마트노조) 측이 검찰에 홈플러스 사태에 대한 철저한 수사와 홈플러스 대주주인 MBK파트너스 김병주 회장의 즉각 소환을 촉구했다. 홈플러스와 MBK파트너스는 홈플러스의 신용등급 하락을 알고서도 기업회생을 준비하면서 단기채권을 발행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7일 마트노조와 홈플러스 사태 해결을 위한 공동대책위원회는 서울 서초구에 위치한 서울중앙지방검찰청 정문 앞에서 ‘홈플러스 사태 수사 촉구’ 기자회견을 개최했다.

해당 기자회견에 노란색 마트노조 조끼 차림의 관계자 20여명이 참석했다. 이들은 “검찰은 투기자본의 불법 행위를 엄정 처벌하라!”, “검찰은 MBK 김병주를 즉각 소환·출국 금지 엄정 처벌하라!” 등의 문구가 적힌 손팻말을 들었다.

안수용 마트노조 지부장은 호소 발언을 통해 “829억원의 단기채권을 발행한 후 단 4일 만에 기업회생을 신청한 것은 명백한 사기이며, 중대한 범죄”라며 “MBK 김병주 회장이 해외로 도피하기 전에 출국 금지 조치를 내려 이 사태의 책임을 명확히 밝히고, 엄중히 처벌해 주실 것을 요구드린다”고 강조했다.

안 지부장은 지난 14일 진행한 마트노조 홈플러스 지부 확대간부 결의대회에서 진행한 삭발로 인한 짧은 머리와 ‘홈플러스 사태 해결을 위한 무기한 단식 7일차’라는 문구가 적힌 조끼 차림으로 호소문을 낭독했다.

앞서 서울중앙지검 반부패수사제3부(부장검사 이승학)는 지난 4월 28일 서울 강서구에 위치한 홈플러스 본사와 종로구에 위치한 MBK파트너스 본사를 특정경제범죄 가중처벌법상 사기, 자본시장법 위반 등 혐의로 압수수색했다.

금융당국으로부터 지난 21일 패스트트랙(긴급 조치) 형식으로 사건을 넘겨받은 지 일주일만이다. 홈플러스는 신용등급 하락 3일 전인 2월 25일 신영증권을 통해 채권 820억원을 판매했다. 이후 신용등급 하락 4일 뒤인 3월 4일 회생을 신청했다.

금융감독원은 신용등급 하향 발표 전부터 계획된 MBK파트너스의 기업회생 준비 정황을 확보했다고 밝혔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지난 24일 자본시장 관련 현안 브리핑을 통해 “만약 회생이 예정된 상황에서 투자자들에게 손실을 떠넘겼다면 이는 과거 동양·LIG 사태처럼 사기적 부정거래에 해당할 수 있다”고 진단했다.

이에 이의환 홈플러스 물품구매전단채피해자 비상대책위원회 집행위원장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처음부터 우리 돈을 떼어먹으려고 작정한 것”이라며 “대규모 금융상품 피해자들의 삶과 인생을 망가트리면 철저하게 처벌받는다는 사실을 분명히 보여주시길 바란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아울러 이 위원장은 “갚은 능력이 없다는 것을 알면서 채권이나 어음을 발행하면 사기죄라고 알고 있다”라며 “김광일 대표는 김앤장 출신이라 알리바이를 다 만들어 놓고 철저하게 준비를 마쳤다는 소문이 무성하다”고 주장했다.

이외에도 이들은 사모펀드의 약탈적 행태에 대한 제도적 허점 수사와 개혁 착수도 요구했다. 허영호 마트노조 사무처장은 “검찰의 압수수색 이후 진전이 없고, 피해 당사자들은 여전히 고통받고 있다”라며 “검찰은 사모펀드 규제 사각지대와 MBK의 불법 행태를 끝까지 추적해 근본 대책을 마련하라”고 촉구했다.

[CEO스코어데일리 / 최수빈 기자 / choi32015@ceoscore.co.kr]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