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1-20
전체뉴스
심층기획
전자·화학
통신·인터넷
건설·중공업
자동차·유통
헬스케어
금융·증권
비주얼뉴스
[AI 반도체 시대가 온다] ① 메모리 강자 ‘K-반도체’…‘시스템 반도체’ 중국에도 뒤져
‘챗GPT’발 인공지능(AI) 열풍으로 글로벌 반도체 시장이 요동치고 있다. 구글, 마이크로소프트(MS), 아마존 등 빅테크 기업들이 앞다퉈 생성형 AI 개발 경쟁에 뛰어들면서 AI 서비스 구현을 위해 필수로 탑재되는...
[30대그룹 지배구조 진단] ⑱네이버, 이해진 3% 지분에도 안정적 지배구조…소유·경영 분리 ‘책임경영’이 해법
국내 대표 IT기업인 네이버의 투명한 지배구조가 주목받고 있다. 포털과 플랫폼을 넘어 국내 AI(인공지능) 산업까지 선도할 수 있는 원동력은 지배구조에 기반한 유연한 의사결정 덕분이라는 분석이다. 네이버는 ...
[챗GPT발 AI 대전, 갈 길 먼 한국] ③ ‘한국형 AI’로 빅테크와 맞대결…네이버 “‘하이퍼클로바X’ AI 생태계 확장”
네이버를 비롯한 국내 AI(인공지능) 기업들이 자체 초대규모 AI 모델을 활용해 다양한 AI 서비스를 선보이고 있다. 특히 네이버는 초대규모 AI ‘하이퍼클로바’를 자사 쇼핑, 검색 서비스에 적용하는 것은 물론, ‘...
[챗GPT발 AI 대전, 갈 길 먼 한국] ② AI, 국가 기간산업 검토돼야…“빅테크에 데이터 막 줘선 안돼”
지난해 11월 오픈AI가 초대규모 AI(인공지능) 기반 챗봇 ‘챗GPT’를 대중에 공개하면서, 전 세계적으로 대규모언어모델(LLM) 개발 경쟁이 본격화 되고 있다. 특히 마이크로소프트(MS) 계열의 챗GPT에 맞서 올해 초...
[챗GPT발 AI 대전, 갈 길 먼 한국] ① 한국 AI 논문 구글의 20% …“‘AI 식민지 ’ 우려, 범 정부 지원책 만들어야”
지난해 11월 오픈AI가 초대규모 AI 기반 챗봇 ‘챗GPT’를 대중에 공개하면서, 전 세계적으로 대규모언어모델(LLM) 개발 경쟁이 본격화 되고 있다. 특히 마이크로소프트(MS) 계열의 챗GPT에 맞서 올해 초 구글, 메...
[점프UP 한국 증시] ②주가 발목 잡는 지배구조…이사회 중심 개선이 핵심
한국 증시의 오랜 과제인 ‘코리아 디스카운트’가 각계 논의와 제도 개선 시도에도 불구하고 해소될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 윤석열 정부는 국정과제 중 하나로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를 선언하고 여러 대책을 ...
[30대그룹 지배구조 진단] ⑰중흥그룹, 지주사 체제 전환 추진…정원주 부회장 지배력 강화 전망
중흥그룹은 정창선 회장의 중흥건설과 정 회장의 장남인 정원주 부회장의 중흥토건이 두 축을 이루고 있다. 다만 중흥그룹이 대우건설을 인수할 때 지분을 40% 이상 확보하면서 현재는 중흥토건이 중흥그룹의 핵...
[점프UP 한국 증시] ①‘주주가치 제고’ 이상과 현실…여전히 갈길 먼 배당성향
[호황 맞은 편의점] ③편의점발 히트상품 ‘수두룩’...MZ 공략하며 식음료 트렌드 주도
편의점이 국내 오프라인 유통 채널의 강자로 떠오르고 있다. 한때 ‘담뱃가게’ 취급을 받기도 했지만 지난 3년간은 매출이 대형마트를 앞지를 정도로 커졌다. 최근 고물가 심화로 가성비를 앞세운 편의점 상품들은...
[30대그룹 지배구조 진단] ⑯이중근 회장 ‘1인 체제’ 부영그룹…핵심 과제는 ‘신사업 발굴’
부영의 전신은 이중근 부영그룹 회장이 1983년 자본금 5000만원을 들여 설립한 삼진엔지니어링이다. 주택사업을 통해 몸집을 키운 삼진엔지니어링은 1993년 사명을 부영으로 변경하고, 임대주택사업을 본격적으...
[호황 맞은 편의점] ②1·2위 격차 '뚝' 편의점 간 경쟁 심화…각 사 필승 전략은
[호황 맞은 편의점] ①‘사양산업’ 소리 듣던 편의점, 유통 트렌드 주도
[시대적 과제, 탄소중립] ③탄소중립 목표 달성 위해 산·학·연, 정부 지원 ‘한목소리’
탄소중립이 전 세계적인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세계 각국에서는 탄소중립을 위한 정책을 잇따라 발표하고, 실현을 위해 속도를 내고 있다. 우리나라도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를 내놓은 상태라 국내 산업계에...
[30대그룹 지배구조 진단] ⑮DL그룹, 2021년 지주사 체제 전환…이해욱 회장, 지배력 강화
DL그룹은 2021년 1월 지주사 체제를 완성했다. 지주사로 전환하면서 그룹명도 대림에서 DL로 변경했다. DL그룹은 지배구조 개편을 통해 DL이 지주사 역할을 맡게 됐다. DL이앤씨·DL케미칼·DL에너지는 중간 지주...
[시대적 과제, 탄소중립] ②‘기후 리스크’ 극복 과제…중후장대, ‘에너지 전환’ 사활
[시대적 과제, 탄소중립] ①거세지는 글로벌 탄소중립 요구…국내 산업계 ‘발등의 불’
[30대그룹 지배구조 진단] ⑭ “형제보다 더 낫다”…LS, 20년간 불협화음 한번 없는 ‘사촌 경영’
“CFE(탄소 배출이 없는 전력) 시대로의 대전환 흐름에 발맞춰 전력과 에너지 산업에서 두각을 드러내 온 LS그룹은 미래 산업의 선도 핵심 파트너로 성장해 2030년까지 자산 50조원 규모의 글로벌 선도 그룹으로 ...
[반도체 인재양성 비상] ③ “전장 등 신기술 인재 하늘의 별따기”…소부장 업계, 인재발굴 정책 전무
전 세계적으로 반도체·디스플레이 등 전략 산업과 각 산업별 소재·부품·장비(소부장) 분야의 중요성이 그 어느 때보다도 높아진 가운데 미국, 중국 등 주요국들이 미래 먹거리를 확보하기 위한 기술 패권 경쟁에...
[30대 지배그룹 진단] ⑬두산그룹, 박정원 회장 체제 완성…차기 회장에 박지원·박진원 거론
두산그룹은 1896년 문을 연 박승직 상점이 효시로, 한국 최초의 기업이다. 현존하는 최고의 기업이다. 10년이면 강산도 변한다는 말 그대로 그룹 업태 변화도 많았다. 1950년대에는 무역사업을 시작했으며, OB맥...
[반도체 인재양성 비상] ② ‘K-디스플레이’의 위기…“중국 추격 거센데, 석박사급 인재 턱없이 부족”
[그래픽] 미국 반도체 지원법에 따른 삼성전자·SK하이닉스 보조금 현황
[25-01호] AI가전 온라인 고객가치 측정
[이달의 주식부호] ‘삼성전자’ 약세에 이서현 6위로…박진영‧백종원 등 신규진입
2024년 500대 기업(1위~100위)
[그래픽] 그레이트 컴퍼니 우수기업 리스트
2024년 500대 중견기업 (1위~100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