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SG닷컴, 이마트 이천점 PP센터 본격 운영…"물류 경쟁력↑"

입력 2021-11-04 06:00:00 수정 2021-11-03 16:54:08
  • 페이스북
  • 트위치
  • 카카오
  • 링크복사

▲ⓒ작업자가 자동화 소터에 상품을 투입하는 모습.<사진제공=SSG닷컴>

SSG닷컴은 지난 9월 중순 리뉴얼 공사를 마친 이마트 이천점 PP센터(Picking & Packing)의 시범운영을 종료하고, 본격적으로 하루 최대 3000건의 온라인 주문 배송에 나선다고 4일 밝혔다.

PP센터는 전국 110여개 이마트 매장을 활용한 SSG닷컴의 ‘온라인 물류 처리 공간’을 의미한다. 하루 최소 200건에서 최대 3000건에 이르는 온라인 장보기 주문을 소화한다.

이천점 PP센터는 전체 면적 1190㎡(약 360평)으로, 규모를 이전보다 16배나 확장했다. 내부에는 ‘자동화 소터’와 ‘DAS(Digital Assorting System)’ 등 최첨단 설비도 구축해 물류 효율을 높였다.

이 설비들은 ‘피커(Picker: 집품 작업자)’가 상품을 기계에 넣으면 자동으로 분류되면서 ‘패커(Packer: 포장 작업자)’에게 이동해 사람은 정해진 위치에서 맡은 업무에만 집중할 수 있도록 동선을 최적화해주는 것이 특징이다.

이밖에 구매 빈도가 높은 상품 선별에 최적화된 ‘DPS(Digital Picking System)’는 물론, 132㎡(약 80평) 규모의 콜드체인 시설을 마련해 상품의 입고부터 출고까지 적정 온도가 유지될 수 있도록 했다.

이처럼 공간이 넓어지고 자동화 설비까지 갖춰지면서 지난 9월 중순부터 10월 말까지 50여 일의 시범운영 기간 동안 이천점 PP센터의 작업자 1인당 생산성은 일반 PP센터에 비해 약 20%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하루 동안 처리 가능한 주문 건수도 리뉴얼 이전 최대 450건에서 3000건까지 6배 이상 늘어났다.

SSG닷컴은 늘어나는 온라인 장보기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이천점 PP센터처럼 하루 3,000건 이상의 주문을 처리할 수 있는 ‘대형 PP센터’를 내년 상반기까지 30개로 확대할 계획이다.

안철민 SSG닷컴 SCM본부장은 “오는 2025년까지 대형 PP센터를 전국에 70여개 이상 확보해 ‘쓱배송’, ‘새벽배송’을 포함 현재 하루 14만건 수준인 온라인 장보기 배송 물량을 최대 36만건까지 늘릴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CEO스코어데일리 / 김수정 기자 / ksj0215@ceoscore.co.kr]

댓글

등록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주요 기업별 기사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 삼성
    • sk
    • 현대
    • lg
    • 포스코
    • 롯데
    • 한화
    • gs
    • 현대중공업
    • 농협
    • 신세계
    • kt
    • cj
    • 한진
    • 카카오
    • ls
    • 두산
    • 대림
    • hmm
    • 중흥건설
    • 현대백화점
    • 부영그룹
    • 네이버
    • 미래에셋
    • s오일
    • 아시아나
    • 하림
    • 영풍
    • 현대산업개발(에이치디씨)
    • sm그룹
    • 효성
    • 셀트리온
    • 호반건설
    • kt앤g
    • kcc
    • 장금상선
    • 대우조선해양
    • oci
    • 코오롱
    • 태영건설
    • 넷마블
    • 세아
    • 넥슨
    • 엘엑스
    • 쿠팡
    • 이랜드
    • 한국타이어
    • DB
    • 삼천리
    • 금호석유화학
    • 다우키움
    • 태광
    • 교보생명
    • 동원
    • kg
    • 한라
    • 아모레퍼시픽
    • 한국항공우주산업
    • 대방
    • 중앙
    • 두나무
    • 에코프로
    • 애경
    • gm
    • 동국제강
    • 엠디엠
    • 삼양
    • 크래프톤
    • 고려HC
    • 보성
    • 글로벌세아
    • 신영
    • DN
    • 오케이금융그룹
    • 아이에스지주
    • 하이트진로
    • 한솔
    • 유진
    • 농심
    • 삼표
    • 반도홀딩스
    • BGF

CEO스코어인용보도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