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권 가계대출 4.2조 증가…4월보다 증가 폭 5000억 확대

은행별 ATM기기 모습. <사진=CEO스코어데일리>
금융위원회는 전 금융권 가계대출이 올해 6월 기준으로 총 6조원 증가하면서, 전월 증가 폭인 5조3000억원보다 7000억원가량 늘었다고 11일 밝혔다.
금융위에 따르면 주택담보대출(이하 주담대)은 5조6000억원 증가하면서 전월 증가 폭인 4조8000억원 대비 8000억원가량 확대했다. 같은 기간 은행권 주담대 증가 폭도 3조7000억원에서 4조2000억원으로 5000억원 커졌으며 제2금융권 주담대 증가 폭도 1조1000억원에서 1조5000억원으로 4000억원 커졌다.
기타대출은 신용대출 증가 폭이 1조2000억원에서 8000억원으로 축소함에 따라 전월 5000억원 대비 증가 폭이 소폭 감소해 4000억원 증가했다.
업권별로 살펴보면 은행권 가계대출은 올해 5월 5조2000억원 증가해 전월 증가 폭인 4조7000억원 대비 확대했다. 세부적으로는 은행 자체 주담대 증가 폭이 전월 대비 확대(1조9000억원→2조5000억원)한 반면 정책성 대출 증가 폭은 축소(1조8000억원→1조6000억원)됐다. 기타대출은 전월과 유사한 증가 폭(1조원→1조원)을 유지했다.
제2금융권 가계대출은 올해 5월 8000억원 증가해 올해 4월 5000억원 대비 증가 폭이 커졌다. 이때 상호금융권(3000억원→8000억원)은 전월 대비 증가 폭이 확대됐으나, 저축은행(4000억원→3000억원)은 증가 폭이 소폭 축소됐다. 보험(100억원→-3000억원)은 감소세로 전환됐으며 여전사(-1000억원→-1000억원)는 전월과 유사한 감소 폭을 유지했다.
한편 이날 금융위는 ‘가계부채 점검회의’를 열어 올해 5월 가계부채 동향을 점검 및 평가하고 향후 대응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회의 참석자들은 올해 2월부터 주택거래량 증가의 영향으로 5월 가계대출 증가 폭이 주담대 위주로 확대했다고 언급하며, 주택거래량 증가세가 계속 이어지고 있어 면밀한 가계부채 관리가 중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회의를 주재한 권대영 금융위 사무처장은 “가계부채는 아직까지 관리가능한 범위 내에 있으나 최근 금리인하 기조, 주택시장 호조 등 가계부채의 증가세 확대 요인이 상존하고 있어 엄중한 경각심과 일관된 리스크 관리가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한 시점”이라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금융사들도 연초 대비 가계대출 행태가 다소 느슨해진 것은 아닌지 스스로 살펴보고, 특정 시기나 지역에 자금이 쏠리거나 중단되지 않도록 월별·분기별 관리계획을 보다 엄격하게 준수해 달라”고 강조했다.
이어 “금융당국은 일관된 가계부채 관리 기조 하에서 최근의 가계부채 증가 추이, 부동산 시장 상황 등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시장 과열 발생시 준비된 조치를 즉각 시행해 나갈 계획”이라며 “가계부채가 우리 경제의 위험요인으로 작용하지 않도록 가계부채 관리를 위한 전 금융권의 적극적인 관심과 협조를 당부드린다”고 덧붙였다.
[CEO스코어데일리 / 백종훈 기자 / jhbaek@ceoscore.co.kr]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