넥슨, 작년 공정위 과징금 116억 대기업 7위… ‘큐브’ 확률 사태 영향

시간 입력 2025-01-25 09:00:00 시간 수정 2025-01-24 14:27:19
  • 페이스북
  • 트위치
  • 카카오
  • 링크복사

공정위, 지난해 1월 넥슨 ‘전자상거래법 위반행위 제재’ 과징금 116억 처분
넥슨, 지난해 대기업집단 중 과징금 부과 규모 측면 7위 기록…전체 2% 수준
‘큐브 사태’ 이후 넥슨, 확률형 아이템 정보 공개 사이트 운영 등 투명성 확보

넥슨코리아는 2024년 1월 ‘전자상거래법 위반행위 제재’로 116억4200만원 상당의 금전적 제재 조치를 당했다. <출처=넥슨>

넥슨코리아가 지난해 공정거래위원회(이하 공정위)의 기업 부과 과징금(과태료 포함) 규모 측면에서 7위에 해당하는 큰 처분을 받은 것으로 조사됐다. 인기 게임 ‘메이플스토리’ 의 확률형 아이템 ‘큐브’와 관련한 논란에서 촉발된 것으로 보인다.

25일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대표 조원만)가 2023년 1월부터 2024년 12월까지 공정위의 전체 제재 현황을 조사한 결과, 넥슨코리아는 2024년 1월 3일 ‘전자상거래법 위반행위 제재’로 116억4200만원 상당의 제재 조치를 당했다. 조사 기간 동안 공정위가 전체 대상 기업에 부과한 과징금은 총 5502억원으로, 넥슨 측이 납부한 과징금은 전체의 2% 이상 해당한다.

당시 공정위는 넥슨이 유료 확률형 아이템의 확률 구조를 소비자에게 불리하게 변경하고도 이를 제대로 공지하지 않거나 허위로 알렸다고 판단했다. 특히 제재 사유로 든 확률 조작 의혹은 ▲잠재 옵션 가중치 변경 ▲‘보보보’ 등 잠재 옵션 출현 구조 변경 ▲잠재 옵션 등급 상승 확률 변경(‘메이플스토리’) ▲ 빙고 이벤트 확률 허위 공지(‘버블파이터’) 등 4가지다.

당시 공정위에 따르면, 넥슨은 인기 옵션에 낮은 가중치를 부여하고 유료 확률형 아이템 ‘큐브’를 2010년 출시한 이후 특정 중복 옵션 조합이 아예 출현하지 않게 설정하고도 이런 사실을 이용자들에 제대로 알리지 않았다. 이같은 사실은 2021년 넥슨이 확률형 아이템 정보를 공개하면서 처음 알려졌고, 논란 시작 약 3년 만에 공정위의 판단이 나왔다. 

지난 1월 공정거래위원회는 게임사 넥슨에 '메이플스토리' 및 '버블 파이터' 내 '확률형 아이템'과 관련해 시정명령과 함께 과징금 116억여원을 부과하기로 결정한 바 있다. <사진=연합뉴스>

공정위 측은 “넥슨은 해당 정보를 공지하는 데 아무런 제약이 없었음에도 이를 의도적·적극적으로 누락했고, 큐브의 잠재 능력에는 변경 사항이 없으며 기존과 동일하게 설정된다고 거짓 공지했다”고 지적했다. 이러한 이유로 넥슨 측에 116억원이 넘는 비교적 큰 규모의 과징금 처분을 내렸고, 지난해 3월 ‘확률형 아이템’ 관련 게임산업법 개정안 도입 직전에 벌어진 일로 업계의 관심이 모였던 바 있다.

과징금 처분 결과와 관련해 당시 넥슨 측은 “공정위 결정을 겸허하게 받아들인다”면서 “공정위의 조사가 시작된 이후에 사후적으로 조치한 것이 아니다”라며 “조사 이전인 2021년 3월 강화형 확률정보를 전면 공개하면서 자발적으로 개선한 것”이라고 강조한 바 있다.

이후 해당 사안과 관련해 한국소비자원 소비자분쟁조정위원회는 넥슨이 집단분쟁 조정에 참여한 5674명에게 11억원 상당의 넥슨캐시를 보상 지급하라는 결정을 내렸고, 넥슨 측은 조정 참여자 뿐만 아니라, 논란이 된 ‘큐브’ 아이템에 대한 사용 이력이 있는 모든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보상 절차를 진행한다는 입장을 밝히며 상황이 정리된 바 있다.

한편, 지난해 3월 게임산업법 개정안이 시행되면서 확률형 아이템을 제공하는 모든 게임물은 아이템 유형과 확률정보 등을 투명하게 공개해야 한다. 앞서 ‘큐브 사태’로 홍역을 겪은 넥슨 측은 자사 게임의 확률형 아이템과 관련해 보다 투명한 정보 체계를 마련하고자 노력하고 있으며, 관련 사이트 운영을 통해 게임마다 아이템별 확률을 구체적으로 공개 중이다.

[CEO스코어데일리 / 이예림 기자 / leeyerim@ceoscore.co.kr]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