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SK에 그랩바디-B 기술이전…국내 두 번째 규모
전임상·개발·제조·상업화 등 GSK 단독 비용 부담
siRNA·ASO 등 모달리티 확장·타깃 세분화 계획

이상훈 에이비엘바이오 대표가 9일 여의도 콘레드호텔에서 개최된 기업설명회에서 발표하고 있다. <사진제공=김지원 기자>
“GSK와의 기술 이전은 1편에 불과하다. 시리즈 영화처럼 2편, 3편이 나올 가능성이 충분하다”
이상훈 에이비엘바이오 대표는 9일 오후 2시 여의도 콘레드호텔에서 열린 기업설명회에서 글로벌 제약사 글락소스미스클라인(GSK)와의 4조원대 기술이전 체결에 대해 설명하며 이 같이 말했다.
에이비엘바이오는 지난 7일 GSK와 계약금 739억원(약 3850만파운드)와 단기 마일스톤 741억원(약 3860만파운드)을 포함해 최대 4조1000억원(약 21억4010만파운드) 규모의 그랩바디-B 플랫폼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한 바 있다.
에이비엘바이오가 개발한 그랩바디-B는 인슐린 유사 성장 인자 1 수용체(IGF1R)를 통해 약물이 뇌혈관 장벽(BBB)를 효과적으로 통과하고 뇌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플랫폼이다. 기존 약물들은 BBB을 통과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지만 그랩바디-B는 이러한 한계를 극복했다.
이번 에이비엘바이오 기술이전은 2020년 알테오젠이 머크(MSD)와 체결한 4조7000억원대 기술이전 계약에 이어 국내에서 두 번째로 큰 계약 규모다.
계약에 따라 에이비엘바이오는 그랩바디-B 관련 기술 및 노하우를 이전하고 GSK는 전임상 및 임상 개발·제조·상업화를 담당한다. 이번 계약 이후 전임상 및 임상개발·제조·상업화의 모든 비용은 GSK가 부담한다.
이상훈 에이비엘바이오 대표는 “GSK 기술이전은 대한민국 역사상 두 번째로 큰 계약 규모”라며 “(이번 기술이전은) GSK가 보유 중인 복수의 신규 타깃(Novel Target)에 에이비엘바이오 기술과 접목하면서 저희 기술이 꽃을 피는 단계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회사는 이번 기술이전을 통해 그랩바디-B의 모달리티(치료 접근법) 확장 가능성을 확인했다는 입장이다. 이번 계약은 짧은 간섭 리보핵산(siRNA), 올리고 약물(ASO)를 포함한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또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 항체 등의 다양한 모달리티(치료 접근법)를 활용해 복수의 새로운 표적 기반 치료제를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상훈 대표는 “그동안 항체 부분에서만 거래를 해왔고 내부적으로도 강조해왔다”며 “이번 기술 계약으로 뉴클레오타이드, ASO, siRNA 부분에 대한 모달리티 확장이 있었다”고 설명했다.
또한 이 대표는 “현재 듀얼 BBB 셔틀을 개발하고 있다”며 “개발이 되면 드날리처럼 엔자임(효소)에 대한 확장도 가능하다”고 덧붙였다.
에이비엘바이오는 그랩바디-B의 모달리티 적용범위를 넓히는 것 외에도 타깃을 확장함으로써 또 다른 기술이전을 노릴 계획이다.
이 대표는 “모달리티 확장과 함께 아밀로이드 베타, p-타우 등 알츠하이머병과 관련된 타깃을 세분화해 기술이전 기회를 높이겠다”고 설명했다.
그는 “2025년을 기준으로 에이비엘바이오의 기업 가치가 폭발적으로 상승할 것”이라며 “적극적인 연구개발(R&D) 등을 통해 글로벌 바이오 기업으로 도약하겠다”고 말했다.
[CEO스코어데일리 / 김지원 기자 / kjw@ceoscore.co.kr]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