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대그룹 지배구조 진단] ⑫지주사 없는 카카오, 쪼개기 상장 ‘여전’…문어발 확장은 ‘개선’

시간 입력 2023-04-20 07:00:01 시간 수정 2023-04-20 09:21:25
  • 페이스북
  • 트위치
  • 카카오
  • 링크복사

스타트업에서 10년만에 자산 10조원 ‘대기업’으로
‘살림’ 맡는 지주사 실종…상장·외부투자 유치로 조달
계열사 감소세…계열사 이중 상장, 큰 숙제

국내 대기업 중 가장 빠르게 성장한 기업을 꼽으라면 단연 카카오다. 카카오는 지난 2010년 3월 무료 모바일 메신저 ‘카카오톡’을 출시한 이후, 2014년 포털업체 ‘다음’, 2016년 로엔엔터테인먼트 등 대형 인수합병에 성공하며 단숨에 국내 최대 모빌리티 기업으로 부상했다.

그 결과, 카카오는 2016년 자산 5조원을 넘기며 준대기업집단(공시대상기업집단)에 지정됐고, 3년만인 2019년에는 자산 총액 10조원을 돌파하며 대기업집단(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으로 올라섰다.

하지만 단기간에 공룡기업으로 부상하면서, 지배구조 재편에는 신경을 쓰지 못했다. 특히 국민메신저 카카오톡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 문어발식 사업확장과 계열사 쪼개기 상장 등 ‘성장통’도 잇따르고 있다.

◆지배구조 최상단에 김범수의 ‘케이큐브’…지주사 전환 언제쯤

카카오는 지난해 말 기준으로, 김범수 미래이니셔티브 센터장이 최대주주(13.26%), 그 다음으로 케이큐브홀딩스가 10.55%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특히 케이큐브도 김 센터장이 지분 100%를 투자한 회사로, 사실상 김 센터장이 카카오 지분의 23.81%를 확보하고 지배력을 행사하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김 센터장의 개인회사인 케이큐브가 사실상 카카오의 지주사 역할을 하고 있는셈이다. 김 센터장이 현재 실질적으로 경영에서 손을 뗐지만, 여전히 케이큐브를 통해 의결권을 행사하고 있다. 또한 제대로 된 지주사가 없다보니 계열사들의 자금 조달이 외부에서 이뤄질 수 밖에 없고, 이것이 결국 ‘쪼개기 상장’으로 이어진다는 지적도 받고 있다.

공정거래위원회는 지난해 12월 케이큐브를 금산분리 위반으로 검찰에 고발했다. 공정위는 케이큐브를 금융·보험사로 보고, 해당 기업이 보유한 카카오와 카카오게임즈의 주식에 대한 의결권 제한규정을 위반했다며 시정명령 조치와 함께 검찰에 고발했다.

공정위에 따르면 케이큐브는 2020년부터 2021년까지 전체 수익 중 금융수익이 95%를 넘겨 한국표준산업분류상 ‘금융업’을 영위하는 회사에 해당된다. 또 케이큐브홀딩스는 2년간 카카오, 카카오게임즈의 주총(4회)의 모든 안건(48개 안건)에 대해 의결권을 행사했다.

이에 대해, 카카오 측은 “케이큐브는 법적으로 금융업 영위 회사가 아니고, 제3자 자본 조달도 하지 않았다”며 “또 의결권을 행사한 47건은 케이큐브의 참여와 상관 없이 통과됐고, 1건마저도 절차상의 안건에 불과했다”고 해명했다.

김 센터장은 공정위 제소에 따른 검찰수사 등에 부담을 느껴 올 초부터 케이큐브 청산을 검토했지만, 최근 검찰이 법인 청산 시 책임자(개인)를 입건할 수 있다는 뜻을 내비치자 검토를 철회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 카카오 관계자는 “김 센터장이 케이큐브 청산 등과 관련한 의중을 드러낸 적은 없다”고 선을 그었다.

김범수 카카오 미래이니셔티브 센터장. <출처=카카오>
김범수 카카오 미래이니셔티브 센터장. <출처=카카오>

◆‘안정기’ 들어선 카카오…문어발 확장은 ‘옛말’

카카오에게 늘 꼬리표처럼 따라 붙던 ‘문어발식’ 사업 확장은 점차 개선되고 있다. 카카오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카카오의 계열사 수는 상장사 5개, 비상장사 170개, 총 175개로 이전년도 194개에서 19개가 줄어들었다.

카카오톡을 기반으로 마구잡이로 사업을 확장하던 시기를 지나 콘텐츠, 금융·모빌리티 뿐만 아니라 AI ·헬스케어·블록체인 등 미래 성장 사업 분야로 점차 안정화 되고 있다는 평가다.

실제로 지난해 새로 카카오에 연결된 회사는 23개였는데, 카카오헬스케어와 NFT 마켓플레이스 ‘클레이베이’, 카카오엔터테인먼트 미국 법인 등을 제외하면 대부분 수직계열화로 인해 종속 회사에 합병되면서 신규 연결된 경우였다.

특히 가장 많은 계열사를 거느리고 있는 카카오엔터테인먼트의 경우, 재무적 성장을 이뤄내면서도 계열사 수는 줄여나갔다. 연결 기준 매출은 2020년 3591억원, 2021년 1조2469억원, 지난해 1조8648억원으로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지만, 종속 회사 수는 2020년 14개에서 2021년 61개로 급격히 늘어난 후 지난해 다시 52개로 축소됐다.

두번째로 계열사가 많은 카카오게임즈도 매출은 2020년 4955억원, 2021년 1조125억원, 지난해 1조1477억원을 기록했고, 종속 회사 수는 2020년 16개에서 2021년 31개로 2배 증가했다 지난해에는 25개로 줄었다.

공정거래법상 카카오 기업집단 규모. <출처=2023년 상반기 카카오 기업집단 설명서>
공정거래법상 카카오 기업집단 규모. <출처=2023년 상반기 카카오 기업집단 설명서>

◆자회사 ‘이중 상장’…주주 가치 희석 안돼

주주들의 질타를 받고있는 ‘쪼개기 상장’ 문제는 여전히 불씨로 남아 있다. 카카오는 2020년 9월 카카오게임즈, 2021년 8월 카카오뱅크, 2021년 11월 카카오페이를 상장하면서 주주 가치에 무관심하다는 비판을 받았다. 심지어 카카오페이 등 일부 계열사의 경우 상장 후 대표이사를 비롯한 임원들이 스톡옵션으로 받은 주식을 전부 매도하면서 개미 투자자들의 분노를 샀다.

2019년부터 상장을 준비했던 카카오엔터테인먼트는 회사 가치를 높이기 위해 2021년 3월 카카오페이지(웹툰·웹소설), 카카오M(콘텐츠 제작·유통)을 합병했고, 같은해 9월 멜론컴퍼니까지 합병했다. 최근에는 하이브와의 인수전 끝에 SM엔터테인먼트까지 품으면서 국내 뿐만 아니라 글로벌 콘텐츠 시장진출까지 노리고 있다. 하지만 SM엔터가 코스닥에 상장돼 있는 상황에서, 카카오엔터가 상장을 추진한다면 또다시 ‘이중 상장’ 논란이 불거질 것으로 보인다.

카카오게임즈의 개발 자회사 라이온하트스튜디오도 마찬가지다. 라이온하트스튜디오는 지난해 9월 코스닥 상장을 목표로 금융위원회에 증권신고서까지 제출했지만, 글로벌 경기 둔화로 IPO(기업공개) 시장이 얼어붙자 신고서를 철회했다. 라이온하트스튜디오 측은 추후 시장 상황을 보고 적절한 때에 상장을 재추진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카카오모빌리티도 지난 2021년부터 상장을 준비했지만 택시·대리운전 등 골목상권 침해 논란이 불거지면서 한 차례 무산됐다. 이어 재무적투자자(FI)들의 투자금 회수 등을 이유로 지난해 매각을 추진했으나 구성원들과 이해관계자들의 반대로 무산됐다. 카카오모빌리티 측은 상장 재추진을 공식화하진 않았지만, 투자재원 조달이라는 측면을 봤을 때 시장 상황이 좋아지면 상장을 추진할 것이라는 관측이다.

시장에서는 카카오가 카카오톡 플랫폼 지배력을 앞세워 사업영역을 확장하고, 대규모 기업결합을 통해 단기간에 기록적인 성장을 거둔 것으로 높게 평가하고 있다. 그러나 양적 성장만을 추구하다 보니, 무리한 사업확장으로 기존 업체나 종사자들과 충돌하고, 비정상적인  쪼개기 상장 등의 편법까지 동원했다는 비난도 함께 받고 있다.
  

재계 한 관계자는 “카카오는 벤처기업으로 출발해 새로운 사업을 키우고 이를 발판으로 상장하는 방식으로 기업을 키워왔다”면서 “지금은 대기업 반열에 들어선 만큼, 주주 가치나 사회적 합의 등을 고려하면서 성장하는 방법을 모색해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CEO스코어데일리 / 김동일 기자 / same91@ceoscore.co.kr]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